디지털오션 Centos6에서 Nginx 설치하기

Posted by HULIA(휴리아)
2017. 11. 1. 12:21 호스팅_서버_툴/서버
sudo vi /etc/yum.repos.d/nginx.repo
[nginx]
name=nginx repo
baseurl=http://nginx.org/packages/centos/6/$basearch/
gpgcheck=0
enabled=1

설치
sudo yum -y(모두 y로 진행) install nginx


Nginx 실행
sudo service nginx start

Nginx 중지
sudo service nginx stop

Nginx 상태확인
sudo service nginx status


환경설정
/etc/nginx
/etc/nginx/conf.d/default.conf 

디폴트 사용자 디렉토리는
/usr/share/nginx/html

로그
/var/log/nginx


디지털 오션 Centos6에서 nodejs(npm포함) 설치하기

Posted by HULIA(휴리아)
2017. 11. 1. 02:11 호스팅_서버_툴/서버

YUM을 이용한 설치

1. sudo yum install -y gcc-c++ make


2. (nodejs 7 버젼)

curl -sL https://rpm.nodesource.com/setup_7.x | bash - 


2.1. (nodejs 6 버젼) 

curl -sL https://rpm.nodesource.com/setup_6.x | bash -


3. nodejs 설치

sudo yum install -y nodejs




NVM을 이용한 설치

1. 버전 확인

https://github.com/creationix/nvm


2. NVM 설치

curl -o- https://raw.githubusercontent.com/creationix/nvm/v0.33.6/install.sh | bash


3. 스크립트 실행

.profile이나 .bashrc파일의 마지막에 아래를 추가해 준다


export NVM_DIR="$HOME/.nvm"

[ -s "$NVM_DIR/nvm.sh" ] && . "$NVM_DIR/nvm.sh" # This loads nvm


source ~/.bashrc

또는 

터미널 재시작


4. nvm버젼 확인

nvm --version


5. 설치 가능 버젼 리스트 확인

nvm ls-remote


6. nodejs 설치

nvm install 버전

ex) nvm install v4 (v4의 최신버젼)

ex) nvm install (최신버젼)

ex) nvm install --lts(lst의 최신버젼)


7. 현재설치된 버젼 확인

nvm ls


8. 버젼을 선택해서 사용

nvm use 버젼

ex) nvm use v6.3.1


9. 터미널을 재시작해도 default nodejs로 설정해보자

nvm alias default 버전


10. 설치위치 확인

which node


11. 설치삭제

nvm uninstall 버전






애드센스 광고를 티스토리에 배치하기

Posted by HULIA(휴리아)
2017. 10. 29. 00:41 호스팅_서버_툴/애드센스_애널리틱스

1. 일단 티스토리 플러그인에서 광고 사이즈를 확인합니다


2. 구글 애드센스(PC) 플러그인 정보입니다

저같은 경우엔 상단에는 큰 광고

하단에는 작은 광고 두개를 붙일려고 합니다

권장사이즈가 나옵니다


3. 구글 애드센스(모바일) 플러그인 정보입니다

저는 상단과 하단에 넣을예정입니다

권장 사이즈를 확인합니다^^



4. 애드센스로 가서 사이즈별로 광고를 만듭니다^^



5. 3개를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코드 가져오기를 해서 복사를 한다음

티스토리 플러그인의 설정화면 각각 사이즈별로 넣어주면 끝입니다




애드센스 연결 완료 및 구글 애널리틱스와 계정연결

Posted by HULIA(휴리아)
2017. 10. 29. 00:10 호스팅_서버_툴/애드센스_애널리틱스

오늘 드뎌 구글로부터 메일이 왔습니다


연결이 되었다는 메일입니다^^


요즘 애드센스 고시가 있다는 정도로 안되기로 유명하기도 하는데요

저는 한번에 연결이 완료되었네요^^ㅎ



이제 티스토리에 광고를 배치할 수 있으니

해야겠네요


그전에 우선 구글 애널리틱스와 애드센스 계정 연결을 해주면 좋습니다

왜냐면 계정연결한 뒤로부터 애널리틱스에 애드센스 정보가 보이기 때문이지요

애드센스 정보라 함은 어느 글이 얼마나 애드센스(광고)에 연관이 되어있느냐 하는 현황을 알 수 있는 것이지요


계정연결 하는 방법은

1. 구글 애널리틱스에 로그인 or 애드센스에 로그인 후 액세스 및 승인 Google 애널리틱스 통합 클릭

2. 관리메뉴에서 제품연결 -> 애드센스 연결을 누르면 됩니다




애드몬가입자(애드센스 기존 가입자)가 티스토리블로그를 애드센스 추가로 등록하기

Posted by HULIA(휴리아)
2017. 10. 26. 01:42 호스팅_서버_툴/애드센스_애널리틱스

저 같은 경우에는 기존에 안드로이드에 광고를 삽입하는 것 때문에

애드몬 가입을 하였으며 그때 애드센스와 애드워드에 가입을 한 상태입니다


추가로 티스토리를 애드센스에 등록하고자 할때 진행되는 사항에 대해서 정리를 하였습니다


1. 애드센스에 로그인을 하여 내광고 메뉴의 기타제품을 클릭합니다


2. 지금 적용하기 버튼을 누릅니다


3. 티스토리 블로그 주소와 언어를 입력합니다


4. 신청서 제출을 클릭합니다

(원래 애드센스 가입자는 이외의 여러가지 정보를 입력하게 되어있지만 기존의 가입자이기 때문에 신청서 제출을 클릭하면 등록요청은 끝이 납니다)



5. 티스토리 블로그에 코드 넣기


6. 빨간색 박스의 코드를 복사해서 

티스토리의 설정 - HTML/CSS 수정 메뉴에서 빨간색 박스처럼  복사하고 저장을 합니다



7. 애드센스 사이트로 가서 체크박스를 클릭하고 완료 버튼을 클릭합니다


8. 그리고 대기를 합니다

구글에서 메일이 올때까지^^





git이나 amazon 등의 ssh 연결을 하기 위한 ssh key 생성하기

Posted by HULIA(휴리아)
2017. 10. 23. 17:57 호스팅_서버_툴/서버
요즘 https보다 ssh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라고 홍보하는 추세인 것 같습니다
ssh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ssh key를 로컬에 저장하고 있어야 합니다

ssh key 생성해주는 방법을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home디렉토리 아래에 .ssh 폴더에 id_rsa파일(private key)과 id_rsa.pub(public key) 이 두개의 파일이 있는데
이중에 private key는 내 컴퓨터에 있어야 하고 public key는 해당 사이트에 등록 되어있어야 합니다
등록하면 실제로 서버의 계정의 홈디렉토리에 .ssh폴더밑에 authorized_keys로 저장되어 있습니다

1. 리눅스이거나 git이 설치되어 있다면 가장 쉽게 생성할 수 있는 방법
ssh-keygen 명령어 입니다

https://docs.gitlab.com/ee/ssh/

2. 터미널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방법
putty와 관련되어서는 puttygen이라는 프로그램을 별도로 설치해서 ssh key를 생성하시면 됩니다

mobaxterm과 관련되어서는 mobakeygen 이라는 메뉴를 이용해서 ssh key를 생성하시면 됩니다

터미널 프로그램을 이용했을때는 자동으로 저장이 되지 않습니다
사용자계정의 폴더에 .ssh폴더 아래에 파일을 두어야 합니다

3. 이클립스를 이용한 방법
windows-preference-general-network connection-ssh2의 key management 를 이용하여서 생성하시면 됩니다

이때도 파일 저장을 별도로 해야합니다


참고 url


티스토리에 구글 애널리틱스 설정하기

Posted by HULIA(휴리아)
2017. 10. 21. 23:11 호스팅_서버_툴/애드센스_애널리틱스

1. 구글 애널리틱스 사이트 접속

https://www.google.co.kr/intl/ko/analytics/

계정만들기 버튼 클릭



2. 가입 버튼 클릭


3. 정보 기입


4. 티스토리 플러그인 접속 -> 설정하기 클릭


5. 추적 ID 넣기


github에서 직접(별도 설정없이) 디렉토리(폴더) 만들고 파일 올리는 법

Posted by HULIA(휴리아)
2017. 10. 20. 22:59 호스팅_서버_툴/서버

github에 어디가지 않고 바로 디렉토리와 폴더 구조를 만들어 보자


1. Create repository를 할때 반드시 initialize this repository with a README를 반드시 체크 해야한다


2. Create repository를 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에 나타난다 REAEME.md 파일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에 1번에말한 체크박스를 체크하지 않고 만들면 이런 화면이 나타나지 않으니 주의할 것


3. Create new file을 누른다


4. 상단의 보면 파일명을 쓰는 곳이 있는데 이부분에 이름/이름/ 이렇게 하면 폴더가 생기게 된다

예시 화면은 os/centos7/Dockerfile.html을 입력한 화면이다



5. 그럼 다음과 같이 폴더가 생긴 것을 확인할 수 있다


vagrant를 이용한 centos 7에서 docker 설치하기

Posted by HULIA(휴리아)
2017. 10. 20. 18:55 호스팅_서버_툴/도커(DOCKER)

기본적으로 docker는 root권한을 필요로 한다


1. docker 설치(기본버젼)

sudo yum install docker


1.1 docker-ce 버젼 설치


sudo yum install -y yum-utils \

  device-mapper-persistent-data \

  lvm2 


sudo yum-config-manager \

    --add-repo \

    https://download.docker.com/linux/centos/docker-ce.repo 


sudo yum makecache fast


yum list docker-ce --showduplicates | sort -r 


sudo yum install docker-ce

OR

sudo yum install docker-ce-17.06.2.ce 


docker-ce 버젼 설치시 요구사항

https://docs.docker.com/engine/installation/linux/docker-ce/centos/#prerequisites


2. docker service 실행

sudo service docker start


부팅했을때 자동으로 실행

sudo chkconfig docker on


3. docker service 실행여부 확인

sudo service docker status

active라고 뜨고 enabled라고 뜨면 정상


4. docker service 종료

sudo service docker stop


5. docker version확인

sudo docker version

client와 server 두개가 나오면 정상



docker는 docker로 시작하는 명령어를 쓰는데

docker앞에 일반계정에서는 sudo를 써야하므로

root로 접속해서 docker 명령어를 쓰는게 바람직하다


6. root계정에 비번설정

sudo passwd root

root 비번 입력


7. root 계정으로 사용자변경

su root

root 비번 입력


8. docker version 확인

client와 server 두개가 나오면 정상

그럼 sudo를 안써도 됨

putty 대체할만한 무료 터미널 MobaXterm

Posted by HULIA(휴리아)
2017. 10. 20. 17:40 호스팅_서버_툴/툴

putty를 쓰다가 세션관리라던지 접속할때라던지 편하게 할 수 있는 툴이 없을까 하다가 발견한 터미널 툴

MobaXterm


생각보다 기대이상이다

UI도 이쁘고

여러가지 기능들

putty는 기억도 안날듯

게다가 무료임^^


설치는 다음의 링크를 클릭하면 된다

https://mobaxterm.mobatek.net/


참고로 설치가 필요없는 portable edition이 있어서 맘에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