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86개의 글

google drive API v3 사용

Posted by HULIA(휴리아)
2021. 2. 22. 23:51 백엔드개발/NODEJS

Google Drive API  |  Google Developers

 

Google Drive API  |  Google Developers

Create an app that reads, writes, and syncs files in Google Drive.

developers.google.com

Introduction to Google Drive API  |  Google Developers

 

Introduction to Google Drive API  |  Google Developers

The Drive REST API lets you create web apps that access files stored in Google Drive.

developers.google.com

0)전제조건

1)구글 drive API 켜기

구글 API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OAuth Client(Application)를 만들어야 한다

만들고 나면은 최종 화면에서 DOWNLOAD CLIENT COFIGURATION 버튼을 클릭하여서 credentials.json파일을 다운 받아서 내가 만든 node.js 어플리케이션에 복사함

Google API Console

 

Google Cloud Platform

하나의 계정으로 모든 Google 서비스를 Google Cloud Platform을 사용하려면 로그인하세요.

accounts.google.com

2)googleapi 라이브러리 설치

3)index.js 생성하기

node-samples/index.js at master · googleworkspace/node-samples · GitHub

 

googleworkspace/node-samples

Node samples for Google Workspace APIs. Contribute to googleworkspace/node-samples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4)node index.js으로 quickstart 앱과 연동하기(최초 1번)

URL을 복사해서 웹브라우저 입력하면은

고급을 눌러 이동합니다

그럼 권한부여화면에서 허용을 눌러줍니다

그리고는 마지막에 나오는 코드를 입력해주면 정상적으로 token.json이 만들어 지게 됩니다~

5)node index.js 실행하기

마이데이터 '1기' 확정…결국 초대 못 받은 카카오페이(종합)

Posted by HULIA(휴리아)
2021. 1. 27. 23:30 뒷이야기들/IT회사뉴스관련

news.zum.com/sns/article?id=1262021012765793149&cm=share_link&tm=1611757823682

 

마이데이터 `1기` 확정…결국 초대 못 받은 카카오페이[종합]

[아이뉴스24 서상혁 기자] 네이버파이낸셜·KB국민은행·신한카드 등 `1기` 마이데이터 사업자들의 윤곽이 나왔다. 이변이 있다면 빅테크 중 한 곳인 `카

news.zum.com

news.zum.com/articles/65793149?cm=newszum

 

마이데이터 `1기` 확정…결국 초대 못 받은 카카오페이[종합]

[아이뉴스24 서상혁 기자] 네이버파이낸셜·KB국민은행·신한카드 등 `1기` 마이데이터 사업자들의 윤곽이 나왔다. 이변이 있다면 빅테크 중 한 곳인 `카

news.zum.com

본허가 받은 업체(총 28개사)
-은행권-->국민, 농협, 신한, 우리, SC제일은행
-여신전문업-->국민, 우리, 신한, 현대, BC카드, 현대캐피탈
-금융투자-->미래에셋대우
-상호금융-->농협중앙회
-저축은행-->웰컴저축은행
-핀테크-->네이버파이낸셜, 비바리퍼블리카(토스), 뱅크샐러드, 민앤지, 보맵, 쿠콘, 팀윙크, 핀다, 핀테크, 한국금융솔루션, 한국신용데이터, 해빗팩토리, NHN페이코, SK플래닛

신청했지만 본허가 받지 못한 업체
-하나금융투자, 하나은행, 하나카드, 핀크
-삼성카드
-경남은행
-카카오페이

암호화관련 조사

Posted by HULIA(휴리아)
2021. 1. 26. 04:57 뒷이야기들/스터디히스토리강의

암호화의 분류

1. 대칭키 방식

2. 비대칭키 방식

3. HASH함수

1.대칭키 방식

암호화키와 복호화 키가 같은 암호화 방식(비밀키 하나만 존재)

장점:암호화/복호화 처리속도가 빠르다, 구현이 빠르다(쉽게 적용가능하다)

단점:키관리가 어렵다(노출되면 보안의 안정성이 쉽게 훼손됨)

종류:AES, DES, 3-DES, SEED 등등

 

2.비대칭키 방식

암호화키와 복호화 키가 다른 암호화 방식(개인키와 공개키가 존재)

장점:키교환이 용이하다

단점:암호화/복호화 처리속도가 느리다

종류:RSA. DSA 등등

3.HASH함수

임의의 길이를 가지고 있는 메시지를 받아들여 고정된 길이의 출력값으로 바꾸어 주는 함수

위의 방식과 다르게

1)단방향으로만 이용가능함 = HASH함수를 통해 나온 출력값을 HASH함수에 입력된 값으로 변환할수 없다는 뜻

2)키를 사용하지 않음 = 같은 입력에 대해서는 항상 같은 출력이 나옴

이런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정보보안영역에서는

1. HASH함수를 통과하기 전의 입력값을 다시 알아낼수 없다는 점(복호화 어려움)

2. 아무리 긴 입력값이더라도 정해진 길의의 값으로 출력된다는 점(문서 축약)

3. 입력값의 아주 작은 변화가 출력값 전체를 변화시킨다는 점(위변조 여부 검증)

에 이용한다

종류:MD5, SHA-1, SHA-2, SHA-3 등등

 

그래서 솔트라고 해서 HASH함수를 보완해서 사용합니다~(아래는 괜찮은 블로그글이라서 첨부합니다)

st-lab.tistory.com/100

 

패스워드의 암호화와 저장 - Hash(해시)와 Salt(솔트)

'보안은 그 어느 시스템의 정보보다 가장 중요하며 가장 안전해야 하는 것이다' 필자가 "프로그래머로써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것 하나만 뽑는다면?" 이라는 질문이 들어온다면 위와 같이

st-lab.tistory.com